안동권씨 원.사.당.재/예천노봉서원

권산해 관직회복(조선왕조실록 참조)

죽재권혁무 2012. 9. 6. 15:52

국역원문이미지
내용 중 앞문서내용 중 뒷문서내용 중 상위문서확대축소검색어 발자취책갈피인쇄검색 리스트 보기검색결과 처음이전검색결과다음검색결과검색결과 마지막검색어 바로가기오류신고
정조 27권, 13년(1789 기유 / 청 건륭(乾隆) 54년) 5월 7일(계해) 3번째기사
경주의 유학 권종락의 청으로 고 첨정 권산해의 관직을 회복시키다


고 첨정(僉正) 권산해(權山海)의 관직을 회복하였다. 경주(慶州)의 유학(留學) 권종락(權宗洛)이 격쟁(擊錚)하고 말하기를,
“12대조 고 첨정 산해장릉(莊陵)4941) 의 이부(姨夫)가 되는 신하로 평소부터 지조가 굳어 사류(士流)의 추앙을 받았으며 호를 죽림(竹林)이라 하였습니다. 문묘(文廟) 경신년에 녹사(錄事) 및 주부(主簿)로 천거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고, 단묘(端廟) 갑술년에 비로소 종부시 첨정으로 나아갔으나, 단종이 양위(讓位)함에 미쳐서는 항상 한 번 죽을 마음을 품고 있었으므로 누차 제수하는 명이 있었으나 끝내 나가서 숙배(肅拜)하지 않았습니다. 병자년에 권자신(權自愼)·성삼문(成三問) 등이 먼저 옥에 갇히자 산해는 하늘을 우러러 눈물 흘리며 ‘이것이 진실로 하늘의 뜻인가.’ 하고 드디어 높은 집에서 뛰어내려 자살하였습니다. 뒤에 체포령이 내렸으나 이미 죽었으므로 미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죄가 관작을 삭탈하는 데 이르고 벌이 전가 사변(全家徙邊)하는 데 이르렀으며, 또 자손들을 1백 년 동안 금고(禁錮)하도록 하였습니다. 이것이 그가 절개를 세운 대략입니다. 산해는 바로 고 재상 문경공(文景公) 권진(權軫)의 종손(從孫)이자 현릉(顯陵)4942) 의 국구(國舅) 경혜공(景惠公) 권전(權專)의 사위입니다. 영종 대왕께서 선대왕의 성덕을 본받아 생육신(生六臣)과 사육신(死六臣)들에게 모두 벼슬을 추증하고 정문을 세워주셨습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 성상께서는 또 생육신들에게 시호를 주는 은전을 내리셨는데, 신의 조상의 충절도 실로 생육신·사육신과 하나이면서 둘입니다.”
하였다. 이에 대해 이조가 아뢰기를,
산해의 순절(殉節)이 실로 육신과 똑같이 아름다우니 추복(追復)의 은전을 베푸는 것이 마땅하겠습니다.”
하니, 따랐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46책 34면
【분류】 *인사(人事) / *사법(司法) / *윤리(倫理)